프로그래밍 공부/기초 지식, visual studio
-
[visual studio] 준수모드 해제와 유니코드<-> 멀티바이트 변경프로그래밍 공부/기초 지식, visual studio 2022. 11. 9. 17:42
char[]에 대입 등을 하려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럴 시 준수모드를 해제해주면 대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 visual studio 상단 메뉴의 프로젝트 - 속성 - C/C++ - 언어에 들어가면 준수모드 부분을 아니오로 변경하면 된다. WinAPI에서는 문자 표현에 유니코드 대신 멀티바이트를 사용한다. 함수를 사용하여 유니코드들을 직접 멀티바이트로 바꾸어 주는 것이 베스트지만, 가볍게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멀티바이트로 변경할 때가 있다. 혹은 문자 집합이 멀티바이트로 설정되어 있어 유니코드로 돌려놔야 할 때가 있다. visual studio 상단 메뉴의 프로젝트 - 속성 - 고급에 들어가면 문자 집합 파트를 통해 바꿔줄 수 있다.
-
-
-
-
[Visual Studio] 오류 코드 MSB8020 해결프로그래밍 공부/기초 지식, visual studio 2022. 10. 6. 18:17
필자는 현재 집에서는 visual studio 2019를 사용중이다. 최적화가 잘 되어 있는 최신 버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공용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visual studio 2022가 깔려 있다. 두 컴퓨터를 이용하기에 버전이 왔다갔다하며 작업해야 한다. 2019버전에서 2022버전으로 가든, 2022버전에서 2019버전으로 사용하든 빌드를 시도하면 MSB8020 오류가 발생한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오류 코드 : MSB8020 v143에 대한 빌드 도구(플랫폼 도구 집합 = 'v143')를 찾을 수 없습니다. v143 빌드 도구를 사용하여 빌드하려면 v143 빌드 도구를 설치하십시오. [프로젝트] 메뉴를 선택하거나 솔루션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한 다음 "솔루션 대상 변경"을 선택하여 현..
-
[Visual Studio] C++ 프로젝트 생성 및 솔루션 관리 방법프로그래밍 공부/기초 지식, visual studio 2022. 10. 6. 17:58
Visual Studio를 처음 설치했을 때 새 프로젝트, 새 코드 파일을 어떻게 생성하는지 제법 막막했던 기억이 있다. 새 프로젝트 만들기 1. 좌측엔 이용했던 파일 목록이 있다. 우선 우측의 새 프로젝트 만들기를 선택한다. 2. 템플릿 검색, 혹은 툴바에서 붉게 표시한 '모든 언어'부분을 원하는 언어로 바꿔준다. 다른 언어도 같은 방법이지만 우선 C++으로 만들도록 하겠다. ※ 만약 C++이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더보기 (1) 윈도우, 혹은 좌측 하단 검색창을 통해 "Visual Studio Installer"을 실행한다. (2) 수정 버튼을 클릭한다. (3) '유니버설 Windows 플랫폼 개발', 'C++를 사용한 데스크톱 개발' 체크박스를 체크한 후 수정을 누른다. (4) Visual St..
-
[visual studio] 스크롤 막대 및 지도 모드 설정프로그래밍 공부/기초 지식, visual studio 2022. 10. 6. 02:00
비주얼 스튜디오를 쓰면서 스크롤바에 코드 내용이 보이며 마우스를 호버하면(올리면) 확대되어 보이는 것을 본 적 있다. 이것을 '지도 모드'라고 한다. 사용하는 방법을 몰라 쓰지 못했는데, 이번에 알게 되었다. 지도 모드를 이용하면 수정 사안이 필요할 때 빠르게 찾아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화면을 여러가지로 분할하여 사용할 경우 자리 차지때문에 방해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도구(T) > 옵션 > 텍스트 편집기에 들어간다. 2. 모든 언어를 선택한 뒤 스크롤 막대 탭에 들어간다. 3. 동작 > 세로 스크롤 막대에 지도 모드 사용을 클릭하고 확인을 누른다. 위 이미지와 같이 스크롤바가 지도 모드로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
[visual studio] 글꼴 설정 변경 방법프로그래밍 공부/기초 지식, visual studio 2022. 10. 6. 01:47
[글꼴 변경 방법] 0과 O, I(i)와 l(L) 등이 헷갈리는 건 오타를 유발하기 쉽고 효율이 떨어진다. 글꼴때문에 헷갈린다면 가독성을 위해 글꼴을 변경해 주는 것이 좋다. 1. 상단바의 도구(T) > 옵션으로 들어간다. 2. 옵션 창 오른쪽 탭에서 환경 > 글꼴 및 색으로 들어간다. 3. 글꼴을 바꾼다. ※ 가독성이 좋으며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폰트는 Consolas와 Courier New이다. 둘 모두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폰트이다. 자주 사용되어서 그런지 검색해도 바로 나오고, 글꼴 목록에도 볼드체로 강조되어 있다.
-